Page 4 - 괴산소식
P. 4
2022년 4월 25일(월)
제 4 기 괴산군민 축제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2022 년 충북행복결혼공제사업 참여자 추가 모집
축 제 전 문 가 의 체 계 적 인 축 제 이 ● 지원대상 : 도내 중소 ( 견 ) 기업 미혼 근로자 및 농업인( 만 18 세 ~ 만 40 세)
● 지원인원 : 4 명[근로자 ( 기본형 ) 1명 , 근로자 (정부지원형 ) 1 명 , 농업인 2 명 ]
론·실무·현장 교육을 통해 지역
● 지원기간 : 공제가입일로부터 5 년(60 개월 )
축제의 전 문 인력을 육성하고 , 군민
● 접수기간 및 방법( 선착순 접수 )
이 축제에 관심과 참여를 확대하여
- 접수기간 : 22. 1. 17. ~ 사업량 소진시까지 ( 선착순 접수 )
축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
- 접수방법 : 군청 방문 접수 또는 우편 접수
한 「 제4 기 괴산군민 축제아카데미」
● 지원내용 : 중소 (견 ) 기업 미혼 청년근로자 및 청년농업인이 매월 일정액을 5
수강생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.
년간 적립 시, 도·군·기업에서 매칭적립 → 기간 내 본인 결혼
● 모집기간 : 2022. 5. 2. ~ 6. 3.
및 근속 시 만기 후 목돈 지급
● 교육기간 : 2022. 6. 14. ~ 2022. 9. 13.(15 주 과정)
근로자
● 시 간 : 매주 화요일 19:00~21:00(2 시간 )
구 분 농업인
기본형 정부지원형
● 장 소 : 괴산군 여성회관
쪾 중소 ( 견 ) 기업 6 개월이상 재직한
쪾 중소 ( 견 ) 기업 미혼근로자 쪾미혼 청년농업인
가입대상 미혼근로자
● 대 상 : 괴산군 각종 축제추진위원회, 지역 문화·예술인 , 축제관련 단체
쪾만 18 세∼만 40세 쪾만 18 세∼만 40세
쪾만 18 세∼만 34 세
및 자원봉사자, 대학생 , 축제에 관심있는 공무원 및 군민 등 20여명
? + ?
?+?
※ 제1~3 기 수료생 신청불가 , 미수료생 신청 가능 ※ 수업의 70% 이상 참여시 수료 인정 월 80 만원 ( 근속 50+ 결혼 30)
월 80 만원 ( 근속 45+ 결혼 35)
※ 국 18+ 도·시군 22+ 기업 10+ 근로
※ 도·시군 30+ 기업 20+ 근로자
● 수업내용
자 30
30
쪾월 60 만원 ( 결혼 60)
- 국비 1,080 만원(3년간, 7회 지급)
- 전국 축제 전문가 , 교수 강의 및 지도 : 11 회(1 회 2 시간)
월적입액 ※ 도·시군 30+
농업인 30
? 근속 45 만원 ? 근속 50 만원
- 축제 실습 과제 도출 : 퍼실리테이션 1회
도·시군 10+ 기업 10+근로자12
※ 도·시군 10+ 기업 20+근로자15 ※
- 전국 우수 문화관광축제 벤치마킹 : 1 회 (전일 )
? 결혼 35 만원 ? 결혼 30 만원
※ 도·시군 20+ 근로자 15 ※ 도·시군 12+ 근로자 18
- 괴산고추축제 실습 프로그램 운영 및 모니터링 : 축제 기간중
? 근속 + 결혼 48 백만원 ? 근속 + 결혼 48 백만원 쪾결혼 36 백만원
● 수 강 료 : 무료
※ 도·시군 18+ 기업 12+ 근로자 18 ※ 국 10.8+도 · 시군 13.2+ 기업 6+ 근로자 18 ※ 도·시군 18+
만기금액
● 접수장소 : 괴산군청 문화체육관광과 축제팀 ( 괴산군청 동관 2 층 )
? 근속+ 미혼 36 백만원 ? 근속+미혼 40.8백만원 농업인 18
( 원금 )
※ 도·시군 6+기업12+근로자18 ※ 국 10.8+ 도 · 시군 6+ 기업 6+ 근로자 18 쪾미혼 18 백만원
● 접수방법 : 방문 , 온라인 , 우편접수 (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)
☞ 결혼안할시 미지급액 12 백만원 ☞ 결혼안할시 미지급액 7.2백만원 ※ 농업인18
※ 온라인접수 : sweetp11@korea.kr ※ FAX접수 : 043-834-3018
`22년
1 명 1 명 2 명
※ 우편접수 :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90, 괴산군청(문화체육관광과) 지원규모
※ 기타 궁금한 사항은 괴산군청 축 제팀 (043-830-3462~4)으로 전화주시기 바랍니다.
● 문의 : 괴산군청 미래전략담당관실 미래전략팀(☎ 043-830-3025)
를 심었다는 연화담을 비롯해 노적봉 , 성재봉 , 옥녀
봉 , 군자산 등이 겹겹이 보이는 망세루가 가 장 먼저
반긴다 . 야생동물들이 목을 축였던 노루샘, 매의 형
상을 한 매바위 , 여우비를 피해 잠시 쉬 어가던 여우
산막이옛길은 외사리 사오랑마을에서 산막이마을
비바위굴 , 앉은뱅이가 약수를 마시고 나았다는 앉은
을 이어주던 10리 길에 걸친 옛길이다. 지금은 남녀
뱅이약수 , 골짜기를 타고 시원한 바람이 내려오는
노 소 누구나 편하게 걸을 수 있는 길이 되었지만, 그
얼음바람골이 차례로 이어진다 . 그리고 산막이옛길
전에 있던 길은 분명 옛길이 맞다 .
의 가장 아름다운 쉼터인 호수전망대가 지척이다 .
주차장에서 괴산호의 풍경을 만나기까지는 오르막
포토존 명소인 호수전망대를 뒤로하고 험난한 구간
봄이 손을 흔든다 . 저만치 있던 봄이 어느덧 가까이 길이 반복된다 . 아름다운 풍경을 쉽게 보여주기 싫
인 마흔고개를 올라서면 다래숲동굴과 진달래동산
왔다 . 이른 봄 다녀왔지만 , 연둣빛 일렁일 때쯤이면 은 모양이다 . 길게 이어진 농특산물 지정 판매장을
을 지나 산막이마을로 들어서게 된다.
참 아름답겠다 싶었다 . 산막이옛길 , 사계절을 막론하 지나 가파른 길을 걸어 관광안내소 , 차돌바위나루를
산막이마을은 몇 가구 안 되는 작은 마을이지만 , 선
고 아름다운 풍경을 찾는 이곳을 다시 한 번 조심스 지나 소나무동산에 이르면 또 한 차례 계단길이 이
착장까지 이어지는 길이 제법 포근하고 정겹다. 선
레 걸어본다 . 어진다 . 구불구불 뻗은 소나무와 단정하게 쌓은 돌
착장에 도착하면 산막이옛길 짧은 여정이 끝난다.
담길이 제법 운치 있어 오르는 길이 힘든 줄 모른다 .
잠시 쉬었다가 왔던 길을 되돌아가거나, 선착장에서
산으로 막힌 마을을 잇 다 , 산막이옛길 언덕 정상에 이르면 비로소 괴산호의 풍경이 눈에
배를 타고 산막이옛길 입구인 차돌바위선착장으로
괴산군 지도를 보고 있으면 온통 파랗다. 그만큼 산 들어온다 . 길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그네와 흔들의
돌아 나오는 방법도 있다.
이 많다는 증거다 . 산이 많으니 계곡도 많다. 쌍곡과 자에 앉아 여유롭게 휴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제법
배 를 타 면 선 상
선유동계곡 , 화양동계곡 , 갈은계곡 등 대한민국에서 눈에 띈다 . 왼편 소나무 숲 너머로 괴산호와 산막이
에서 새로운 풍경
내로라하는 계곡들이 밀집해 있는 곳이 바로 괴산이 옛길을 탄생시킨 주인공이 얼굴을 내민다 . 괴산댐이
들 을 만 난 다 . 삼
다 . 산이 장막처럼 둘러싸고 있어 막혀 있다는 뜻을 다 . 괴산댐은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달천을 가로막아
성 봉 , 천 장 봉 , 등
지닌 ' 산막이 ' 역시 산이 만들어낸 지명이다 . 건설한 댐식 발전소로 우리나라 최초로 우리 기술로
잔 봉 , 국 사 봉 등
건설됐다 . 전망대에서 호수를 굽어보며 한숨 돌리고
을 잇 는 둥글둥글
나면 흙길과 나무데크를 따라 완만한 길이 이어져
한 산세가 하늘 위로 펼쳐지고 , 벼랑을 따라 구불구
발걸음이 제법 경쾌해진다 . 소나무 출렁다리는 산막
불 산막이옛길이 이 어진다 . 고공전망대 , 괴음정 , 호
이옛길의 최고 명소 중 하나다 . 소나무 숲 사이로 출
수전망대 등이 호수 위로 아슬아슬하다 . 왼편으로는
렁다리를 연결해 삼림욕과 함께 재미를 더했다 .
해발 948m 에 이르는 군자산이 겹겹이 이어지고 , 괴
소나무 출렁다리를 지나면 산막이옛길에 재미를
산호 물가에는 봄소식 가득 머금은 나무들이 싱그럽
더하는 다양한 볼거리가 이어진다. 지금은 연못이지
다. 돌아오는 길은 마치 산막이옛길로부터 선물 하
만 예부터 벼를 재배했던 논으로 빗물에 의존해 모
나를 받은 느낌이다.